소박한 집합론(Naive set theory)
수의 분류 자연수: 물건을 셀 때 사용하는 수의 집합 정수 : 자연수, 자연수의 음수, 0의 집합 유리수 : 두 정수의 비율,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의 집합 무리수 : 두 정수의 비율, 분수로 나타낼 수 없는 수의 집합 실수 : 유리수, 무리수의 집합 복소수 : a+bi, i는 실수와 제곱하면 -1이 되는 허수 소박한 집합론(영어: Naive set theory)은 수학기초론의 여러 집합에 관련된 이론 중 하나이다. 형식적 논리로 정의된 공리적 집합론과 다르게, 소박한 집합론은 자연 언어로 정의되었다. 집합은 수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담당하고 있다. 왜냐하면 현대 수학 안에서, 수, 관계, 함수, 등과 같은 수학적인 것들이 집합을 사용하여 정의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a, b, c는 자연수이고, r..